본문 바로가기
중고등부 과학사전

관성(inertia) 법칙이란?

by 과학샘물 2025. 4. 11.

관성 법칙이란 물체가 자신의 운동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힘이며, 이는 뉴턴 운동 법칙중 제1법칙에 속한다.
조금 더 물리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자면,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이라면 정지해 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고, 운동하는 물체는 등속 직선 운동을 하려고 한다는 법칙이다.
 
 
 

예를 들면, 무거운 상자가 있는데 사람이 밀려고 하면 잘 밀리지 않는다. 이는 상자가 무겁기 때문에, 즉 상자가 무거워서 가만히 있는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잘 움직이지 않는 것이고, 이를 관성이라고 한다.
 
 
 

또한, 속도가 빠를수록 이를 멈추게 하기는 점점 힘들어질 것이다. 위 그림처럼 100m/s의 타이어를 멈추게 하려면 상당한 힘이 필요로 한다. 이는 타이어가 달리는 속도를 계속 유지하려는 관성 때문에 그런 것이다.
 
 
 

이러한 관성은 위 그림도 마찬가지고, 버스가 갑자기 출발/정지할 때, 컵 위에 카드와 동전을 쌓고 카드를 천천히/갑자기 잡아당길 때 등 물리학1에서 예시로 많이 나오게 된다.
버스가 갑자기 출발했을 때를 예시로 볼 때 버스가 오른쪽으로 갑자기 움직인다면, 람은 정지하려는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왼쪽으로 쏠리게 된다. 이렇게 관성은 힘의 반대방향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 

'중고등부 과학사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규산염(SiO4)란 무엇인가?  (0) 2025.04.26
오로라(Aurora)란?  (0) 2025.04.23
탄산 칼슘(CaCO3)이란?  (0) 2025.04.07
액체 파라핀이란?  (0) 2025.04.05